폴리에스터 이불 단점 4가지 아시나요? (ft. 장점)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많은 이불 원단 소재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원단이 바로 폴리에스터 원단입니다. 해당 폴리에스터 소재가 이불 원단으로 쓰이는 이유는 구김이 적고 질기며, 원단으로의 가공성이 좋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이러한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오늘, 폴리에스터 이불 단점을 정리해봤습니다.

폴리에스터 이불 단점

폴리에스터 이불의 단점으로는 낮은 흡습성과 투습성, 열 변형, 정전기 유발, 좋지 않은 촉감이 있습니다.

낮은 흡습성, 투습성

폴리에스터 이불의 가장 단점은 뭐니뭐니해도 낮은 흡습성과 투습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흡습성과 투습성은 쉽게 얘기해 수분을 흡수하거나 통과하는 기능에 있어서, 다른 섬유 대비 낮은 것을 의미하는데요. 그럼, 왜 이러한 늦은 흡습성과 투습성이 폴리에스터 이불의 단점이 되는 것일까요?

이유는 수면 시 인체에서 배출하는 수분에 있습니다.

땀이-나는-남자

인체는 생활 중 땀과 소변을 통해 수분을 배출하지만, 활동이 없는 수면 상태에서도 대략 하루 300mL 정도의 수분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즉, 이렇게 수면 중 땀으로 배출한 수분을 이불이 흡수하거나 배출해야 하는데, 폴리에스터 원단의 특성상 이러한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열 변형

폴리에스터 이불 단점 두 번째는 바로 열에 취약하다는 것입니다.

폴리에스터 소재는 이불 외에 의류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요. 이렇게 폴리에스터가 주 원단으로 조직된 이불 또는 의류는 필히 부착되는 경고 마크가 있습니다. 바로 열에 의한 다림질 또는 건조에 주의하라는 문구입니다.

건조기-내
건조기

이불의 경우, 앞서 설명했듯이 수면 중 발산하는 땀에 의해 오염에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세탁을 자주해야 하는데요. 최근 이렇게 세탁된 이불을 건조기로 말리는 것이 보편화된 만큼, 건조기의 열에 취약한 원단은 기피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한 원단이 바로 폴리에스터 원단입니다.

정전기 유발

폴리에스터 원단은 합성섬유입니다. 즉, 플라스틱을 가늘게 뽑아 원단화한 것인데요. 이러한, 합성섬유의 경우 전자를 쉽게 얻는 구조로 인해, 정전기 유발이 다른 섬유에 의해 높은 것이 단점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주요 원단의 수분율을 알아보겠습니다. (KS 기준 참조)


  • 면 : 8.5%
  • 모 : 12%
  • 나일론 : 4.5%
  • 폴리에스터 : 0.4%

여름철에 비해 겨울철 정전기 발생 빈도가 높은 이유는 공기 중 수분의 함유량이 낮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를 참조하여, 위 주요 원단의 수분율을 참고해보면, 왜 폴리에스터가 정전기를 많이 유발하는지 이해가 되실텐데요.

섬유 원단으로 좋은 평가를 받는 면 원단의 수분율이 8.4%인 것과 달리, 폴리에스터 원단은 대략 20배가 적은 0.4%의 수분율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수분율이 낮아 이불로 사용했을 경우, 건조한 기후 시 다른 원단에 비해 정전기가 많이 발생함을 아실 수 있습니다.

좋지 않은 촉감

깊은 수면에 도움을 주는 이불의 대다수는 소위 포근함 등의 촉감이 좋은 이불을 의미합니다. 그런 관점이라면, 폴리에스터 소재로 된 이불은 여타 면 또는 모 원단으로 구성된 이불에 비해, 좋지 않은 촉감을 제공합니다.

그럼, 폴리에스터 소재된 이불이 촉감이 좋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앞서 언급한 폴리에스터 이불 단점 3가지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수분을 잘 흡수하지 않는 흡습성과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는 소재 특성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주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러한 촉감 때문에 여름 이불에는 폴리에스터 소재가 많이 사용됩니다. 즉, 소위 까끌한 촉감을 제공하는 폴리에스터 원단의 특징적인 촉감이 제대로 발휘되는 것인데요. 물론, 습도가 높아 정전기가 자주 발생하지 않는 여름철 기온도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

폴리에스터 이불 장점은 없을까?

폴리에스터-극세사-이불
폴리에스터 극세사 이불

위와 같은 폴리에스터 이불 단점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폴리에스터 소재의 이불은 차츰 더 많이 사용되고 있죠. 왜일까요? 아무래도 아래와 같은 폴리에스터 소재 이불만의 장점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 폴리에스터 원단 기술 향상
  • 속건성
  • 해충에 강함

촉감이 좋은 이불 소재로 자주 언급되고 있는 것이 극세사 원단인데요. 특이하게도 해당 극세사 원단은 폴리에스터 원단의 한 형태입니다. 즉, 날로 향상되는 원단 기술에 의해 폴리에스터 단점으로 지목되던 촉감이 향상 되고 있습니다.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폴리에스터 소재의 특성은, 반대로 빠르게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면 소재 등을 섞어만든 폴리에스터 혼방 이불이 많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폴리에스터는 다른 소재와 달리 아주 미세하게 뽑아낼 수 있습니다. 그러한 촘촘한 원단 구성은 내해충성이 강해 진드기와 같은 해충이 이불 내 생착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이상, 폴리에스터 이불 단점과 장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폴리에스터 100%가 아닌 혼방 이불을 구입하시면, 나름 촉감과 가격, 내구성 모두를 만족할 수 있는 이불을 구매하실 수 있으니, 구매하고자 하는 이불의 원단 구성을 필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양모이불 단점 4가지 알고 구매하세요! (ft. 장점)

✔️ 극세사이불 단점? 이렇게 해결하세요!

Leave a Comment